강제업그레이드용 소프트웨어는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 바로 lg-utils 0.4.2에 포함되어 있는 KP500-Utils-EN.exe라는 콘솔용 프로그램.
(안드로라이프 사이트의 강업 설명서에 그 사용방법이 매우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두번째로 많이 알려진 것은 UpTestEX.exe라는 GUI 프로그램입니다.
UpTestEX.exe의 경우는 기능이 다양한데, DZ파일을 KDZ파일로 변환하는 기능 등등의 여러가지 펌웨어 개발에 관련한
다양한 기능이 있습니다만, 개발자만 쓸 수 있도록 인증락이 있어서 꼼수(Windows Enabler)를 사용해야만 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것을 리소스 레벨에서 UI를 간소화시키고 락을 풀어버린 KDZ_FW_UPD.exe가 나오게 되었고
이것이 현재 더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mfc42.dll에서 락을 풀음.)
첨부하는 파일은 이것의 리소스가 영문이었던 것을 한글로 고쳐서 초보자가 보다 쓰기 쉽도록 하였습니다.
사용법은 매우 단순합니다. 펌웨어 파일 V20G_00.kdz와 같이 확장자가 kdz로 끝나는 펌웨어를 다운받아서 KDZ 파일로 지정해주시기만 하면 됩니다.
KDZ파일을 직접 다운로드 받는 방법은 이곳에 있는 프라다용 kdz 혹은 옵뷰용 kdz 링크를 검색해보시기 바랍니다.
프라다의 경우 윈도우7에서는 이상하게 mfc42.dll이 작동하지 않아서 이름을 바꿔서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Windows Enabler를 넣어두었습니다. 버튼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Windows Enabler를 실행시킨 후에 아이콘이 오른쪽 하단 트레이에 나오면 아이콘을 클릭해서 "On" 상태로 바꿔주어야 합니다.
트레이에서 다음 아이콘을 확인하세요 본문 이미지
(mfc42.dll은 윈도우 32비트 용이기때문에 32비트 운영체제에서만 작동하며, 64비트 운영체제의 경우에는 Windows Enabler를 사용하면 된다고 합니다)
다음 스크린샷은 SKT향 프라다폰에 KT펌웨어를 강제로 입힌 모습입니다.
(KT펌웨어 V10L 버전)
본문 이미지
준비하기
0. 백업합니다. 내장 저장장치가 실수로 날아갈 수 있으므로 백업합니다.
- 실제로 KDZ_FW_UPD는 /data 및 /sdcard를 건드리지는 않습니다.
1. 폰을 껐다가, 볼륨업을 누른채로 USB로 PC와 연결해서 S/W 다운로드 모드로 폰을 구동합니다.
- 폰을 먼저 끕니다.
- PC-USB 연결되어 있다면 뽑습니다.
- 볼륨 업 버튼을 누른채로 PC-USB연결합니다.
- 폰 화면에 S/W 다운로드 모드라는 화면이 전환되면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모드로 들어가집니다.
공장초기화가 필요한 경우
여기서 의미하는 공장초기화라 함은 /data 파티션을 모두 지우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 공장 초기화를 해야만 제대로 부팅되게끔 됩니다.
1. 펌웨어 다운그레이드 (ICS에서 진저브레드로 다운그레이드 하는 경우)
2. 호환이 안되는 펌웨어 전환
- SK펌웨어 대신에 KT펌웨어를 올리는 경우
- 정식 LG 펌웨어 대신에 CM7 커롬을 올리는 경우
이러한 경우에는 펌웨어 업그레이드 전이나 후에 공장초기화를 해야만 제대로 부팅이 되게 됩니다.
강제 업그레이드하기
설치할때에 중간중간에 계속 "Dll Msg Not Found"라는 경고메시지를 보여준다. (무시하면 됩니다)
0. KDZ파일은 직접 다운로드 받아놓습니다. KDZ 파일을 직접 받으려면 다른 게시글을 참조하세요
1. EMERGENCY 모드로 선택. 원하는 kdz파일 선택.
2. LG 사이트로 들어가 업데이트를 하려 하면 여전히 SU540 이라고 SKT향 폰으로 생각함.
3. KDZ_FW_UPD 프로그램은 강제 플래싱이 실패한줄 알고 계속 켜져있으며 성공했다는 메시지가 안나옵니다
(끝내기 눌러 강제 종료하면 됩니다.)
SKT폰에 KT 펌웨어를 올린 경우에는 부팅 후에 다음과 같은 현상이 있습니다.
1. KT 유심 꽂고 재부팅 하면 기기인증이 안되었다는 메시지 나옵니다 => 다시 재부팅하면 정상 인식됨
2. 타사 단말로 이동해서 MMS가 안될 수도 있다는 문자 메시지 날아옴.
※추가: LG에 문의해본 결과 KT와 SKT모델의 하드웨서 스펙은 완전히 동일하다고 합니다.(06/28)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