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User Story는 "사용자로서 xxx라는 액션을 통해 yyy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로 볼수 있습니다.

 

유저스토리를 쓰는 이유는 이 것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것을 보여주는 이야기라고 보면 됩니다.

 

먼저 Jira 나 스프린트를 할 때 제일 먼저 정리하는 것은 이 "Initiative" 입니다.

 

Initiative 는 프로덕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하고자 하는 행동 계획을 적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Key Result가 메신저 앱의 사용자 수를 5만명으로 늘린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 Initiative 는 목표에 대한 액션인 "메신저 앱을 통해 친구 3명을 추가 하게 한다." 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럼 Epic은 무엇일까요? Epic은 "친구 추가 기능 개발"이 됩니다.

 

이에 따른 User Story는 Epic하위에 담기는 스토리인데, 작게 쪼갤 수록 좋습니다.

 

User Story

1. [메신저 사용자]는 [QR코드를 통해 친구를 추가] 할 수 있습니다. <- 기능 요청: QR 코드를 통한 친구 추가 기능

2. [PM]으로서, 나는 [친구 찾기를 하는 비율]을 알고 싶습니다. <- 분석 툴 요청

 

....

이런식으로 나눠서 보면 됩니다.

 

User Story 하위에는 스토리를 완성 할 수 있게 하는 Task들이 개발 단위로 쪼개집니다.

User Story : [메신저 사용자]는 [QR코드를 통해 친구를 추가] 할 수 있습니다. 

Task 예시

1. 사용자 추가 로직을 만들고, QR코드로 보여준다.

2. 카메라를 통해 QR코드를 인식하고, 친구를 추가한다.

 

위 와 같이 완성이 됩니다.

 

 

결론은 User Story를 작성할 때 중요한 것은 모두가 이해 할 수 있는 용어가 되어야 합니다.

세밀하게 쪼갤 수록 기능이 구체적이게 됩니다.

반응형

'PHP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플게임 CGI PHP 소스  (0) 2024.06.15
MySQL DB 한글 깨짐 수리 후기 LATIN1 ISO-8859-1 EUC-KR UTF-8  (0) 2018.07.05
SQL 특정 문구 바꾸기  (0) 2017.07.23
폰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