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필자는 서버에 관심을 갖아 배우고 있는 중입니다.


SSL 보안 관련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et's Encrypt 와 같이 무료로 제공되는 SSL 도 있지만, 3개월 마다 갱신을 시켜야하는 불편함이 있어 유료 SSL 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유료의 장점은 2-3년씩 한번에 결재해서 유효기간이 긴 장점이 있네요.


먼저 브라우저별 표기법을 보시죠.


각 브라우저별 SSL 사용에 따른 표기법


해외에서는 SSL 접속 사이트는 일명 Green Bar 로 쉽게 구분한다고 합니다

(최근 ChromeGreen BarGreen Font 로 변경함)


다양한 종류의 SSL



위 세종류의 차이점은 SSL 암호화 해킹에 대한 피해보상과 Validation 인데, Validation Extended




위처럼 회사 이름이 나오게 됨.



반면 개인용 SSL (저렴한 SSL) 을 쓰면 아래처럼 나옵니다.


SSL업체에 따르면 회사 이름이 적히는게 더욱 신뢰가 간다고 하네요.


 

SSL 설치방법

리눅스/아파치

http://blog.devez.net/402

https://www.digitalocean.com/community/tutorials/how-to-create-an-ssl-certificate-on-apache-for-centos-7

 

리눅스/Nginx

https://www.securesign.kr/guides/NGINX-SSL-Certificate-Install

https://www.ucert.co.kr/tech/sslinstall/nginx_single.html

 

설치 소요시간은 대략 3-5분정도. 아파치의 경우 인증서 파일설치후 설정변경후 Apache (HTTPD)만 재부팅하면 됩니다. (필자의 경우 1분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반응형
폰박사